Tesla BMS A079 리셋 시 위험성
- mike lee
- 3일 전
- 1분 분량
최근 BMS A079 관련하여 일부 사용자들이 에러 코드 발생 후 리셋(reset) 을 통해 시스템 사용을 지속하는 사례가 있습니다. 그러나 이는 배터리 안전 관점에서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.
배터리 팩 화재의 가장 많은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:
셀 열화 및 셀 내부 단락 (Internal Short)
셀 내부에서 미세 단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초기에는 미세 발열에 불과하더라도, 지속되면 열폭주(thermal runaway) 로 전이되어 팩 전체로 확산됩니다.
외부 단락 (External Short)
배선, 커넥터, 회로 등 외부 전기 경로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.
개인적으로도 개발 및 시험 단계에서도 빈번히 목격될 정도로 화재 위험이 높습니다.
셀 연결부 접촉 불량 (Loose Connection / Arc Fault)
셀 탭 용접 불량, 버스바 체결 불량 등으로 접촉저항이 높아지면 국부 발열이 발생합니다.
이때 전류가 순간적으로 끊겼다 이어지면 아크(Arc) 가 발생할 수 있으며, 이는 절연 파괴와 스파크로 이어져 아크 화재(Arc Fire) 로 전개됩니다.
이 부분도 개인적으로도 개발 및 시험 단계에서도 빈번히 목격될 정도로 화재 위험이 높습고 이러한 이유로 대형 셀 제조 회사는 중소기업에 셀 납품을 거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보통 1번(내부 단락) 과 3번(셀 연결부 접촉 불량) 은 BMS 입장에서는 유사한 이상으로 감지될 수 있으며, 이 경우 BMS는 심각한 에러 코드를 발생시킵니다.
BMS는 가장 높은 수준의 기능안전(Functional Safety, ISO 26262 등급) 기준으로 개발되므로,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 및 재산에 직접적인 손해를 유발할 만한 허위 오류(false positive) 발생 확률은 극히 드뭅니다. 따라서 BMS가 심각한 에러 코드를 발생시킨 경우, 이는 팩 안전성에 직결되는 실제 이상 징후가 존재한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단순 리셋을 통해 운행을 지속하는 것은, 곧 BMS의 셀/팩 보호 기능을 강제로 꺼버리는 것과 동일한 행위입니다. 이는 사고 발생 시 화재로 직결될 가능성을 극도로 높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.
Comentários